본문 바로가기
성경 공부

십일조에 대한 고찰, 십일조는 의무일까요?

by ▩§Θ⒂ㄴ∩ 2021. 5. 8.

분명 우리 교회 목사님은 십일조를 아무 중요한 의무로 강조하셨는데, 다른 교회에서는 십일조를 강요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왜 교회마다 서로 생각이 다른 것일까요. 십일조가 확실한 성경적 의무라면 모든 교회의 의견이 같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십일조가 과연 성경적으로 분명한 신자의 의무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우리나라의 교회에서는 장로, 집사, 권사 등의 직분을 받기 위한 조건 중에 하나가 바로 십일조를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교단인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에서는 2014년 십일조를 안 내면 공동의회에서 의결권과 투표권 등을 박탈하는 법을 교회 헌법에 규정하려다가 무산된 일이 있지요.

십일조를 안 내면 신자 또는 직분자로서의 자격이 없어야 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요?

 

성경에서의 십일조의 의미

십일조는 구약성서에 등장합니다.

성경에서 십일조는 이스라엘 시대에 국가의 세금 및 사회적 약자를 돕는 복지 자금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신자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선물로도 십일조가 드려졌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성서에서의 십일조는 국가의 재원이자 하나님께 드리는 마음의 표현인 것이죠.

제정일치 사회에서 사회의 약자를 돕는 공공복지 재원의 역할과 제사를 맡은 레위인들의 생계를 보장하는 역할로 십일조가 쓰였습니다.

 

신약의 십일조

십일조는 구약의 율법 중에 한 가지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신약 시대에도 그 율법이 적용되어야 할까요?

장로교 표준 문서인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에는 율법을 도덕법, 의식법, 재판법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또한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에서는 의식법과 재판법은 현시대에 폐기가 되었고 도덕법만이 유효하다고 기록되어 있지요.

그리고 십일조는 의식법에 속한 율법입니다. 그렇다면 장로교 표준 문서는 십일조는 현시대에서 폐기가 된 율법임을 증거하고 있지요. 

 

세계의 십일조

  • 캐나다
    • 캐나다 연합교회, 성공회, 침례교, 루터교, 장로교 중 침례교만이 십일조의 의무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 미국
    • 남침례교, 루터교, 장로교, 오순절 교단, 감리교 중 오순절과 감리교 두 교단이 십일조의 의무를 주장합니다
    • 매우 보수적인 복음주의 진영 목사인 존 파이퍼도 십일조는 의무가 아니라고 발언하였습니다.
    • 미국 교회의 십일조 비율은 현재 3퍼센트 정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유럽
    • 영국, 독일, 프랑스는 시민혁명 이후 제정이 분리되고 십일조는 모두 폐지되었습니다
    • 독일의 종교세 과세는 총수입의 0.3~1.5퍼센트 정도입니다.

 

한국교회는 왜 다른 나라들과 달리 십일조가 더욱 강조되는 것일까요?

십일조가 교회 수입의 5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십일조의 의무가 약화되면 교회의 재정이 흔들릴 것이 분명하고, 십일조 잘 내는 것이 좋은 신앙의 표본, 복 받기 위한 바람직한 자세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말라기 3장 10절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

 

많은 목사님들이 말라기 3장 10절 말씀을 인용하여 십일조를 내면 보다 많은 복을 받을 것을 주장합니다.

그러나 말라기 3장의 십일조와 관련된 구절은 그런 메시지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십일조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고 있는 이스라엘 제사장들과 백성들을 책망하고 있는 내용이지요.

 

목사님과 성도들 간에 신학적 대화가 합리적, 이성적으로 자유롭게 이뤄지는 교회들이 많아졌으면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