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의 성경에서는 신이 하나님이라고 번역되어 있고, 천주교 성경에서는 하느님이라고 번역되어 있습니다. 애국가의 '하느님이 보우하사'라는 가사는 '하나님이 보우하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목사님도 있을 정도로 개신교 신자들 중에는 하느님이라는 표현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나님과 하느님 중 과연 어떤 번역이 더 적합한 번역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님과 하느님. 정확한 번역은?
'아래 아'의 표기
우리 민족의 하늘의 옛 표기는 하ᄂᆞᆯ이었습니다. 아래 아를 사용한 표기이지요. 아래 아를 사용할 당시의 발음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며 서울 쪽에서는 아래 아가 ㅡ발음으로 사용되었고, 평양 쪽에서는 아래 아를 ㅏ로 발음하게 되었습니다. 즉 서울 쪽에서는 하ᄂᆞᆯ을 하늘이라고 발음하였고, 평양 쪽에서는 하ᄂᆞᆯ을 하날이라고 발음하였던 것입니다.
경천사상
우리 민족에게는 하늘을 경외하는 '경천사상'이 있었습니다. 처음 우리말로 성경을 번역하던 미국의 선교사들은 영어 God에 대한 번역을 고민하던 중 신은 바로 너희가 경외하는 하늘과 같은 존재라는 것을 우리 민족에게 각인시키기 위해 하ᄂᆞᆯ+님에서 ㄹ을 제거하고 하느님(서울식 발음 표기), 하나님(평양식 발음 표기) 등으로 토착화하여 번역하고 표기하였습니다.
평양의 개신교, 서울의 천주교
그런데 왜 지금은 개신교의 신은 하나님, 천주교의 신은 하느님이 되어버린 것일까요? 그 이유는 개신교는 초기에 아래 아를 ㅏ로 발음하는 평양을 중심으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신의 호칭은 '하나님'이 되었고, 서울을 중심으로 발전한 천주교에서는 아래 아를 ㅡ로 발음하는 '하느님'이 된 것입니다.
결론
결론은 하나님과 하느님은 같은 뜻이며, 하느님은 틀린 표현이라는 생각은 오해라는 것입니다. 신은 한 분 밖에 없기에 하느님이 아닌 '하나'님이 맞는 표현이라고 알고 계신 분들이 많지만, 이것은 후에 개신교에서 '하나님'에 신학적 의미를 추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견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